목록분류 전체보기 (170)
IT 개발노트
1. Servlet 살펴보기-3 1.1 HTML form태그 : HTML의 form태그는 서버쪽으로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태그이다. - input : 태그의 종류를 지정한다. 속성(type, name, value) - type : 태그 종류 지정(ex : text, password, submit, checkbox, radio, reset) - name : input태그 이름 - value : name에 해당하는 값(ex : name = value) - type = text : 일반적인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한다. - type = password : 로그인, 회원가입 페이지 등에서 비밀번호 입력하기 위해 사용한다. - type = submit : form내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한다. - t..
1. Servlet 살펴보기-2 1.1 Servlet 작동 순서 : 클라이언트에서 servlet요청이 들어오면 서버에서는 servlet 컨테이너를 만들고, 요청이 있을 때마다 스레드가 생성된다. 1.2 Servlet 라이프사이클(생명주기) : Servlet의 사용도가 높은 이유는 빠른 응답속도 때문이다. Servlet의 최초 요청 시 객체가 만들어져 메모리에 로딩되고, 이후 요청시에는 기존의 객체를 재활용하게 된다. 따라서 동작 속도가 빠르다. - Servlet의 라이프 사이클 : 만들어진 객체를 재활용하다 사라지는 때는 서버가 종료될 때 이다. 또는, java파일을 수정했을 경우 컴파일러가 객체를 다시 만들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라졌다가 만들어진다. 1.3 Servlet 선처리, 후처리 : Servle..
1. Servlet 살펴보기-1 1.1 프로젝트 만들기 : Servlet은 JAVA언어를 사용하여 웹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것이다. 간단한 Servlet 프로젝트를 만들어 보면서 전체적인 구조(흐름)을 살펴보자. - Servlet클래스는 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 받는다. - 요청처리객체 및 응답처리객체를 톰캣에서 받음. - request객체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 오는 정보들을 WAS로 전달해준다. (ex : 로그인할 때 id, pwd) - WAS에서 DB로 정보를 보내서 검색을하고, 그 정보를 response객체에 실어서 클라이언트로 보내준다. - response.setContentType("text/html"); : 응답을 처리해주는 형태를 html로 해주겠다는 의미이다. - GET & P..
1. Servlet 문서 작성하기 1.1 Servlet 특징 - 동적 웹어플리케이션 컴포넌트 - .java 확장자 -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동적으로 작동하고, 응답은 html을 이용 - java thread를 이용하여 동작 - MVC패턴에서 Controller로 이용됨 1.2 Servlet 문서 작성하기 1.2.1 프로젝트 생성 1.2.2 servlet파일 생성 1.3 web.xml에 서블릿 맵핑 : 너무 길고, 보안에 노출되어 있는 경로를 간단하게 맵핑하는 것이다. - 기존 경로 : http://localhost:8080/helloworld/servlet/sungju.java.ex.HelloWorld - URL 맵핑 경로 : http://localhost:8080/helloworld/HWorld 방법 1..
1. JSP문서 작성하기 1.1 JSP특징 - 동적 웹어플리케이션 컴포넌트 - .jsp 확장자 -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동적으로 작동하고, 응답은 html을 이용 - jsp는 서블릿으로 변환되어 실행 - MVC패턴에서 View로 이용됨 1.2 JSP문서 작성하기 1.2.1 프로젝트 생성 1.2.2 JSP파일 생성 1.2.3 JSP파일 실행 1.3 JSP 아키텍처 1.3.1 아키텍처
1. 웹프로그래밍 1.1 웹프로그래밍이란? - 웹프로그래밍이란, 웹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행위이다. - 웹 어플리케이션이란, 웹을 기반으로 작동되는 프로그램이다. - 웹이란, 1개 이상의 사이트가 연결되어있는 인터넷 서비스의 한가지 형태를 말한다. - 인터넷이란, 1개 이상의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말한다. - 프로토콜(Protocol) : 네트워크상에서 익숙한 통신규약 (HTTP, FTP, SMTP, POP, DHCP) - IP : 네트워크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할 수 있는 주소 - DNS : IP주소를 인간이 쉽게 외우도록 맵핑한 문자열 - Port : IP주소가 컴퓨터를 식별할 수 있게 해준다면, Port번호는 해당컴퓨터의 구동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구분할 수 있는 번호 1.2 JAVA웹 - J..
JSP(JavaServer Pages) JSP란 JavaServer Pages의 약자이며 HTML 코드에 JAVA 코드를 넣어 동적웹페이지를 생성하는 웹어플리케이션 도구다. JSP가 실행되면 자바 서블릿(Servlet)으로 변환되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동작되면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그렇게 생성된 데이터를 웹 페이지와 함께 클라이언트로 응답한다. 웹(web) 웹이란 인터넷 기반의 정보기술로 World Wide Web의 줄임말로 쓰이며 WWW라고도 한다. 전세계에 거대한 네트워크 망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며 정보의 흐름은 양방향성을 가진다. 웹 어플리케이션(Web Application) 웹 어플리케이션은 웹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뜻하며 인터넷을 통한 은행업무, 인터넷쇼핑, 등등 인터넷에서 하는 ..
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package tcp; import java.net.ServerSocket;import java.net.Socket; public class Server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 arg[]) { Socket socket = null; //접속한 Client와 통신하기 위한 Socket User user = new User(); //채팅방에 접속해 있는 Client 관리 객체 ServerSocket server_socket=null; //Client 접속을 받기 위한 ServerSocket int count = 0; Thread thread[]= new Thread[10]; //접속하는..